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미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알림마당보도자료

알림소식
  • 알림마당
  • 보도자료
본문 시작

보도자료

방송통신위원회 보도자료를 게시하고 있습니다.방송통신위원회 활동과 정책에 관련된 언론 보도자료를 게시하고 있습니다.

2017년 방송사업매출 전년 대비 6,103억원(3.8%) 증가한 16조 5,102억원(방송사업자 재산상황)
제목 2017년 방송사업매출 전년 대비 6,103억원(3.8%) 증가한 16조 5,102억원(방송사업자 재산상황)
담당부서 방송시장조사과 작성자 윤기철
공공누리 유형 연락처 02-2138-1524
첨부파일 hwp아이콘  (붙임1) 2017년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주요 매체별 현황.hwp    다운로드 뷰어보기
pdf아이콘  (붙임2) 2017년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집.pdf    다운로드 뷰어보기
hwp아이콘  보도자료(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 6.29).hwp    다운로드 뷰어보기
등록일 2018-06-29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법 제98조의2(재산상황의 공표)에 따라 지상파방송사 등 352개 방송사업자 및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사업자의 「2017 회계연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을 공표하였다.

전체 방송사업 매출은 전년(2016년) 대비 6,103억원(3.8%) 증가한 16조 5,102억원이며, 이중 위성방송사업자, 지상파이동멀티미디어방송사업자(DMB), IPTV,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및 IPTV 콘텐츠사업자(CP)의 방송매출은 증가한 반면 지상파,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의 방송매출은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 지상파(25.1%→22.3%), SO(13.6%→12.9%), 홈쇼핑PP(21.5%→21.4%)의 방송매출 점유율은 전년 대비 감소한 반면, IPTV(15.3%→17.7%), 일반 PP(18.6%→18.8%)의 점유율은 증가하였다.

수익원별로는 전체 방송매출(16조5,102억원) 중 광고매출(19.2%), 지상파와 유료방송사의 수신료매출(23.0%), 홈쇼핑방송매출(21.6%)이 약 2/3를, 그 외 프로그램판매·제공매출, 홈쇼핑송출수수료매출 및 협찬매출 등이 1/3을 차지하였다.

방송광고매출은 전년 대비 575억원(△1.8%) 감소한 3조 1,650억원으로 ‘11년 이후 점차 감소 추세를 보이며, 전체 방송광고시장에서 지상파의 비중은 감소(’13년 59.5%→’17년 44.6%)하고 있으나 PP의 비중은 증가(’13년 36.4%→’17년 46.3%)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수신료 매출은 3조 7,912억원으로 전년 대비 2,434억원(6.9%) 증가하였다. 한국방송공사(KBS)가 징수하는 수신료는 전년 대비 징수대상의 증가(21,629천 세대→22,131천 세대)로 129억원 증가한 6,462억원이며 이 중 EBS에 전년 대비 4억원 증가한 181억원을 지급하였다.

유료방송 수신료매출은 전년 대비 2,300억원(7.9%) 증가한 3조 1,269억원이며 SO(△304억원)와 위성(△103억원)의 수신료 매출은 감소하였으나, IPTV의 경우 가입자 증가(14,072천명→15,381천명) 등으로 2,707억원 증가한 1조 9,916억원이었다.

붙임 : 1. 2017년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주요 매체별 현황 1부.
2. 2017년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집 1부. 끝.

목록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방통위, 2018 방송 공동제작 국제 콘퍼런스 개최2018-06-28
다음글 2018년 제32차 위원회 결과2018-07-02
  • 만족도평가
  • 지금 보고 계시는 화면의 정보와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항목관리자 정책홍보팀  02-2110-1339
13809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47, 2동

민원안내 : 02-500-9000(평일 09:00~18:00), 팩스 : 02-2110-0153

Copyright ©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ll Rights reserved.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접근성) 품질인증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