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 보도자료를 게시하고 있습니다.방송통신위원회 활동과 정책에 관련된 언론 보도자료를 게시하고 있습니다.
제목 | 방통위, EBS 지상파 다채널방송 시범서비스 허용키로 | ||
---|---|---|---|
담당부서 | 방송정책기획과 | 작성자 | 정인영 |
공공누리 | 유형 | 연락처 | 02-2110-1415 |
첨부파일 |
EBS 지상파 다채널방송 시범서비스 허용키로 관련 자료(12.23).hwp
다운로드
뷰어보기
EBS 지상파 다채널방송 시범서비스 허용키로 관련 자료(12.23).pdf 다운로드 뷰어보기 |
등록일 | 2014-12-23 |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최성준)는 12월 23일 EBS에 대해 지상파 다채널방송(MMS*)을 시범서비스 형태로 허용하기로 의결하였다. * 지상파 다채널방송(MMS : Multi-Mode Service)이란 디지털영상 압축기술을 활용하여 1개 지상파채널을 제공하던 기존 주파수 대역(6MHz)을 분할해 여러 개의 채널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EBS MMS 시범서비스는 2015년 1월 말 편성 개편에 맞추어 전국적으로 송출될 예정이며, 디지털 TV로 지상파방송을 직접 수신하는 시청자들은 추가로 1개의 채널을 더 볼 수 있게 된다. 이번 EBS MMS 시범서비스에서는 기존의 지상파 EBS 채널에서 충분히 제공되지 않았던 초?중학 교육, 영어 교육 및 다문화 가정 프로그램 등이 상업광고 없이 제공될 예정이다. 이러한 지상파방송의 무료 콘텐츠 확대는 가계의 사교육비 부담 경감 및 교육격차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상파 MMS는 미국, 영국, 프랑스 등에서 지상파방송의 디지털 전환과 함께 도입되었으며, 국내에서도 무료 보편 서비스 확대를 통해 시청자 편익을 높이고 주파수 이용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아 왔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시범서비스 결과를 토대로 시청자의 시청행태, 기술적 안정성 및 방송시장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2015년 중 법·제도 정비 등 MMS 본방송 도입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붙임 : EBS 지상파 다채널방송 시범서비스 도입방안. 끝. |
이전글 | 빅데이터, 수집 시부터 철저히 비식별화 조치해야 2014-12-23 |
---|---|
다음글 |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 연말연시 맞아 국군장병 위문”2014-12-24 |
민원안내 : 02-500-9000(평일 09:00~18:00), 팩스 : 02-2110-0153
Copyright ©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