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g(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알림마당보도자료

알림소식
  • 알림마당
  • 보도자료
본문 시작

보도자료

방송통신위원회 보도자료를 게시하고 있습니다.방송통신위원회 활동과 정책에 관련된 언론 보도자료를 게시하고 있습니다.

근접통신(NFC) 기반 'Mobile Smart Life 서비스' 활성화 본격 추진
제목 근접통신(NFC) 기반 'Mobile Smart Life 서비스' 활성화 본격 추진
담당부서 인터넷정책과 작성자 양진용
공공누리 유형 연락처 02-750-2740
첨부파일 파일 아이콘 근접통신(NFC)기반의모바일SmartLife서비스활성화추진계획자료(3.29).hwp  다운로드 뷰어보기
파일 아이콘 근접통신(NFC)기반의모바일SmartLife서비스활성화추진계획자료(3.29).pdf  다운로드 뷰어보기
등록일 2011-03-29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최시중)는 최근 新성장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는「근접통신(NFC) 기반 Mobile Smart Life 서비스 활성화 계획」을 ‘11. 3.29일 발표하고, NFC를 활용한 모바일 결제와 다양한 응용서비스 제공 준비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 동 계획은「Smart Mobile Korea Vision 2010(‘10.4)」의 시행계획의 일환으로 추진

[ NFC 개념 및 전망 ]

NFC(Near Field Communication)란 두 대의 스마트 단말기간 약 10cm 이내의 거리에서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통신 할 수 있는 근접 무선통신 기술의 하나로 관련시장은 ’14년에 총 1조1,300억 달러의 시장가치를 지닌 전 세계 모바일 결제 거래의 1/3(3,700억 달러) 전망(IE Market Research, ’10.7월)되고, ’15년에는 전체 휴대폰의 약 85%이상에 NFC 기능이 구현될 것으로 예측(H.I. Business Partners, ’11.2월)된다.

이러한 근접통신(NFC) 기반 ‘Mobile Smart Life 서비스’는 각종 인증/정보 리더 기능을 이용하여 모바일 결제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출입 통제·관리, 이용자가 관리하고 있는 쿠폰, 카드 중에서 최적의 선택을 도와주는 맞춤형 스마트 지불, 정보제공과 연계된 각종 티켓팅, 관광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등 단말기 화면안의 모바일 서비스를 온·오프라인이 결합된 ‘생활편의 서비스’로 진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 주요 추진내용 ]

과거 2000년 초부터 모바일 결제가 추진되었으나 이통사, 카드사 등이 모바일 결제시장 주도권 확보에 따른 이해관계가 대립되어 표준화 미흡, 중복 투자 등으로 활성화되지 못하였다.

최근 애플, 구글 등 글로벌 기업들은 스마트폰 시장에 이어 차기 핵심 사업으로 NFC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국내에는 이와 관련한 인프라와 추진체계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 이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게 된 것이다.

방통위는 ‘스마트 모바일 근접통신(NFC) 서비스 선도 국가 구현’이라는 비젼을 세우고 ▶ 新 Mobile Smart Life서비스 기반 조성 ▶Mobile Smart Life 응용서비스 발굴 및 보급 촉진 ▶ 차세대 모바일 결제 및 응용서비스 시장 선도 등 3대분야 9개 핵심과제를 제시하였다.

▶ (新Mobile Smart Life서비스 기반 조성) 스마트 모바일 결제 서비스 인프라 구축 및 응용서비스 모델 발굴, 관리, 기술 지원 등을 전반적으로 추진할 NFC협의체인 「Grand NFC Korea Alliance」를 구성·운영하여 스마트 모바일 결제 공동 인프라망 전국 확산을 꾀한다. 여기에는 이통3사(SKT, KT, LG U+), 카드사(하나SK카드, BC카드, 신한카드, 마스터카드, KB국민카드), 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택, 유비벨록스, KEBT, 엠텍비젼, 쓰리에이로직스), 통신과금서비스제공자(다날, 모빌리언스, KCP, 갤럭시아), 관련기관(KISA, ETRI, TTA, MOIBA, 인기협 등) 등이 참여한다.

동 협의체는 오픈되어 있어 관심 있는 업체들은 언제든지 참여가 가능하다. NFC기능 탑재 단말기 보급을 확대하기 위하여 제조사와 협의하여 신규 출시되는 단말기에는 NFC 기능을 탑재하도록 권고하고, 기존 단말기에는 스티커 및 휴대폰 고리, 배터리 케이스 등 다양한 방식을 강구해서 NFC 기능이 구현되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작·권고할 계획이다. 근접통신(NFC) 기반의 다양한 응용서비스의 표준 개발 등을 시범사업과 연계하여 추진한다.

▶ (Mobile Smart Life 응용서비스 발굴 및 보급 촉진) Mobile Smart Life 응용서비스는 크게 3가지 분야에서 추진한다. 먼저 모바일 단말기간 전자결제 서비스(스마트폰간의 결제, 쿠폰 전달 등) 이용 기반 조성을 위해 NFC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간 결제 서비스 모델 개발 등을 통해 영세 판매상 등을 대상으로 한 시범서비스를 추진할 계획이다. 그리고 NFC 기반의 이용자 인증 기능을 통한 각종 티켓팅, 출입문 개폐(도어락), 사용자 인증, 쿠폰 제공 등 다양한 응용서비스 모델을 발굴하고, NFC 단말기에서 테그 정보를 읽을 수 있는 리더 기능을 활용하고 위치 기반 서비스 등과 접목하여 다양한 정보제공(영화 포스터, 박물관, 물품 등에 부착된 NFC 태그 활용 각종 티켓예매, 관광정보 제공) 및 맞춤형 광고 응용서비스 발굴, 시범서비스를 추진할 계획이다.

▶ (차세대 모바일 결제 및 응용서비스 시장 선도) 모바일 기기 도난/분실에 의한 개인 정보 유출, 불법적인 자료 접근 등을 방지하는 단말 보안 플랫폼 기술 등 안전한 모바일 결제서비스를 위한 보안 기술을 개발하고, 스마트폰에 다양한 결제 정보 및 ID 정보, 인증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프라이버시가 보장되며 개인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NFC기반 (Smart Wallet)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또한 중소업체들의 NFC 결제기, 단말기 등의 호환성 확보 및 서비스 성능을 글로벌 시장 진출에 앞서 사전점검(Pre-test)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도 구축할 계획이다.

[ 기대효과 ]

NFC 기반 서비스는 향후 5년간 1조 340억원의 생산 유발효과, 3,475억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 5,707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11. 3월, ETRI]
그동안 온·오프라인 상에서 독립적으로 구현되던 각종 응용서비스가 휴대폰 하나로 통합되어 교통/카드/유통 등 다양한 산업과 결합한 비즈니스 모델 및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져 모바일 서비스가 Smart Life서비스로 진화할 전망이다. 또한, 국내 통신업계, 금융 및 단말·칩셋 제조사 등이 新서비스 및 장비시장 선점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방통위 관계자는 “근접통신(NFC) 기반 Mobile Smart Life 서비스 관련 시장은 아직 초기단계라 우리나라 사업자들의 기술 경쟁력을 잘 활용하고, 응용서비스 경험을 먼저 쌓는다면 글로벌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낼 수 있는 분야”라고 밝혔다.

[ 향후일정 ]

방통위는「Grand NFC Korea Alliance」내에 인프라 확산분과, 시범사업분과, 기술개발분과, 응용서비스 표준화분과 등 4개분야를 두고 인프라 확산방안 등 세부 Action Plan을 상반기내에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동 사업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하여 금융위, 기술표준원과도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 첨부 ]
1. 근접통신(NFC) 기반 Mobile Smart Life 서비스 활성화 계획(요약) 1부
2. NFC 기반 Mobile Smart Life 서비스 개요 1부
3. NFC 관련 시장 전망 1부
4. 주요 사업자 동향 1부
5. NFC 기반 응용서비스 사례(예) 1부. 끝.

목록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공공누리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방송통신위원회의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 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만족도평가
  • 지금 보고 계시는 화면의 정보와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항목관리자 정책홍보팀  02-2110-1339
13809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47, 2동

민원안내 : 02-500-9000(평일 09:00~18:00), 팩스 : 02-2110-0153

Copyright ©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ll Rights reserved.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접근성) 품질인증 마크, 웹와치(WebWatch) 2023.11.25 ~ 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