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g(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알림마당보도자료

알림소식
  • 알림마당
  • 보도자료
본문 시작

보도자료

방송통신위원회 보도자료를 게시하고 있습니다.방송통신위원회 활동과 정책에 관련된 언론 보도자료를 게시하고 있습니다.

2023년 방송사업매출 전년 대비 4.7% 감소, 광고매출은 전년 대비 19% 감소
제목 2023년 방송사업매출 전년 대비 4.7% 감소, 광고매출은 전년 대비 19% 감소
담당부서 방송시장조사과 작성자 김민호
공공누리 1유형 연락처 02-2138-1523
첨부파일 파일 아이콘 240619 (보도자료) 2023년 방송사업매출 전년 대비 4.7% 감소, 광고매출은 전년 대비 19% 감소.hwpx  다운로드 뷰어보기
파일 아이콘 240619 (보도자료) 2023년 방송사업매출 전년 대비 4.7% 감소, 광고매출은 전년 대비 19% 감소.hwp  다운로드 뷰어보기
파일 아이콘 240619 (보도자료) 2023년 방송사업매출 전년 대비 4.7% 감소, 광고매출은 전년 대비 19% 감소.pdf  다운로드 뷰어보기
파일 아이콘 (붙임자료) 2023 회계연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요약.hwpx  다운로드 뷰어보기
파일 아이콘 (붙임자료) 2023 회계연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요약.pdf  다운로드 뷰어보기
파일 아이콘 (붙임자료) 2023 회계연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요약.hwp  다운로드 뷰어보기
등록일 2024-06-19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김홍일)는 지상파, 유료방송, PP 등 361개 방송사업자의「2023 회계연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을 19일(수) 공표하였다.

전체 방송사업매출은 ’22년에 비해 4.7% 감소하여 총 18조 9,734억원으로 집계되었다. 방송사업매출액은 지난 1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해왔으나 10년만에 처음으로 감소하였다. 사업자 군별로는 지상파가 ’22년 대비 10.2% 감소하여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IPTV를 제외하고 홈쇼핑PP, 일반PP, CP 모두 감소하였다.

방송광고매출은 ’22년에 비해 5,847억원(19.0%) 감소한 2조 4,983억원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지난 10년간의 방송광고매출 중 가장 낮은 수치이다. 프로그램 판매매출은 ’22년도까지 증가 추세였으나, ’23년도에는 520억원(2.5%) 감소하여 2조 457억원으로 집계되었다.

한편, 프로그램제작비는 전년 대비 390억원(0.7%)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비용 증가로 인해 전체 방송사업자의 영업이익은 ’22년 대비 8,177억원(21.4%) 감소한 3조 5억원으로 집계되었다.

< 방송사업매출 ’14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 >

전체 방송사업매출은 ’22년 대비 9,403억원(4.7%) 감소한 18조 9,734억원이다. IPTV는 1,127억원 증가하여 5조 72억원으로 집계된 반면, 나머지 사업군에서는 모두 방송사업매출이 감소하였다. 지상파는 4,242억원 감소한 3조 7,309억원, PP는 5,181억원 감소한 7조 1,087억원, 위성은 138억원 감소한 4,920억원, CP는 250억원 감소한 8,980억원, SO는 702억원 감소한 1조 7,335억원으로 집계되었다.

’22년 대비 방송사업매출 점유율은 홈쇼핑PP(18.6%→18.4%) 및 지상파(20.9%→19.7%), 일반PP(19.7%→19.1%)는 감소, IPTV(24.6%→26.4%)는 증가, SO(9.1%→9.1%)는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방송광고매출은 대폭 감소, 전년 대비 지상파 23.3%, PP 16.9% 감소 >

방송광고매출은 ’22년 대비 5,847억원(19.0%) 감소한 2조 4,983억원이다. 방송광고매출은 ’21년에 일시적으로 증가하였으나 ’22년에 다시 감소 추세로 접어들었으며, ’23년에 대부분의 사업자 군에서 감소로 나타났다.

지상파는 2,817억원(23.3%) 감소한 9,273억원, PP는 2,762억원(16.9%) 감소한 1조 3,600억원, IPTV는 237억원(24.7%) 감소한 724억원, 위성은 32억원(10.4%) 감소한 275억원으로 집계되었다. 반면 SO는 9억원(0.8%) 증가한 1,105억원으로 집계되었다.

매체별 광고시장에서 지상파의 점유율은 감소(’14년 57.4%→’23년 37.1%)한 반면, PP의 점유율은 증가(’14년 37.1%→’23년 54.4%)하였다.

< 수신료, 재송신매출, 프로그램제공매출, 홈쇼핑송출수수료만 증가 >

방송사업자 주요 수익원별 매출액 집계 결과, 수신료, 재송신매출, 프로그램제공매출, 홈쇼핑송출수수료는 증가한 반면, 광고, 협찬, 프로그램판매 등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상파, PP 등 콘텐츠 제작주체가 프로그램 단위로 판매(VOD, OTT사업자 등에 제공)하는 매출 규모는 ’22년에는 증가한 반면에 ’23년에는 520억원(2.5%) 감소하여 2조 457억원으로 집계되었다.

< 유료방송사업자의 기본채널수신료 매출액 소폭 증가 >

SO, 위성, IPTV 등 유료방송사업자 전체의 기본채널수신료 매출액은 ’22년 대비 1,300억원(4.4%) 증가한 3조 689억원으로 집계되었다.

사업자군 별로는 SO는 ’22년 대비 135억원(2.8%) 감소하여 4,770억원, 위성은 103억원(4.1%) 감소하여 2,440억원으로 집계된 반면, IPTV는 1,538억원(7.0%) 증가하여 2조 3,479억원으로 집계되었다.

< IPTV를 제외한 모든 사업자 영업이익 감소, 지상파 및 일반PP는 영업손실 >

방송사업자의 영업이익은 ’22년 대비 8,177억원(21.4%) 감소한 3조 5억원이다.

IPTV는 120억원 증가한 2조 5,211억원의 영업이익, 지상파는 2,168억원 감소한 289억원의 영업손실로 나타났으며, PP는 4,985억원 감소한 3,078억원의 영업이익, 위성은 63억원 감소한 442억원의 영업이익, SO는 678억원 감소한 631억원의 영업이익이며, CP는 405억원 감소한 934억원의 영업이익이다.

< TV홈쇼핑 및 데이터홈쇼핑 모두 매출 감소, 송출수수료는 소폭 증가 >

홈쇼핑PP의 방송사업매출은 ’22년 대비 2,180억원(5.9%) 감소한 3조 4,933억원이다. TV홈쇼핑의 방송사업매출은 1,708억원(5.9%) 감소한 2조 7,290억원이며, 데이터홈쇼핑의 방송사업매출은 472억원(5.8%) 감소한 7,643억원이다.

아울러 홈쇼핑PP가 유료방송사업자에 지출한 송출수수료는 460억원(1.9%) 증가한 2조 4,561억원이다. 이 중 IPTV가 받은 송출수수료는 609억원(4.1%) 증가하여 1조 5,404억원이나, SO가 받은 송출수수료는 243억원(3.2%) 감소한 7,318억원이며, 위성사업자가 받은 송출수수료는 23억원(1.3%) 감소한 1,772억원이다.

< 방송프로그램 제작비는 지속적으로 증가 >

방송사업자의 프로그램 제작비는 ’22년 대비 390억원(0.7%) 증가한 5조 6,488억원이다. 지상파는 ’22년 대비 243억원(0.8%) 감소한 2조 8,370억원으로 전체 방송사업자 제작비의 50.2% 점유하고 있으며, PP는 ’22년 대비 192억원(0.8%) 증가한 2조 3,721억원으로 42.0% 점유하고 있다.

붙임 2023 회계연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요약

목록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동정자료) 방통위 이상인 부위원장, 미디어나눔버스 교육·체험 현장 방문2024-06-18
다음글 방통위, 2023년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 결과 발표2024-06-20
현 게시물의 공공누리 유형에 따른 내용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방송통신위원회의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만족도평가
  • 지금 보고 계시는 화면의 정보와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항목관리자 정책홍보팀  02-2110-1339
13809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47, 2동

민원안내 : 02-500-9000(평일 09:00~18:00), 팩스 : 02-2110-0153

Copyright ©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ll Rights reserved.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접근성) 품질인증 마크, 웹와치(WebWatch) 2023.11.25 ~ 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