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g(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알림마당보도자료

알림소식
  • 알림마당
  • 보도자료
본문 시작

보도자료

방송통신위원회 보도자료를 게시하고 있습니다.방송통신위원회 활동과 정책에 관련된 언론 보도자료를 게시하고 있습니다.

「2012 모바일광고 산업통계 및 이용자행태 조사」 발표
제목 「2012 모바일광고 산업통계 및 이용자행태 조사」 발표
담당부서 인터넷정책과 작성자 장두원
공공누리 유형 연락처 02-750-2745
첨부파일 파일 아이콘 모바일광고 조사결과 자료(2.6).hwp  다운로드 뷰어보기
파일 아이콘 모바일광고 조사결과 자료(2.6).pdf  다운로드 뷰어보기
등록일 2013-02-06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지난해 최초로 실시한 ‘2012년 모바일광고 산업통계 및 이용자 행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① 모바일광고 산업통계 조사 ]

우선, 모바일광고 사업체(광고대행사, 플랫폼사, 앱개발사, 매체사 등) 365개사와 광고주 200개사를 대상(응답 사업체 126개사, 광고주 40개사)으로 실시한 산업현황 조사(’12.10.22∼12.17)에 따르면, 2012년 모바일광고 시장규모는 2,159억원으로 전년대비 약 184% 증가하며 가파른 상승세를 나타냈으며, 2013년 시장규모는 4,160억원으로 2012년 대비 약 9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2년은 모바일 포털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검색광고 시장이 크게 성장(233.2%)한 반면, 금년은 모바일광고 플랫폼 등을 활용한 디스플레이광고 시장의 성장(120.0%)이 두드러질 전망이다.

최근 인터넷·모바일이 TV에 이어 2대 광고매체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모바일광고가 이처럼 높은 성장세를 시현함에 따라 인터넷?모바일광고 시장의 규모와 비중도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작년 모바일광고 매체사의 매출이 크게 증가(243.9%)하며 광고대행사, 플랫폼사, 매체사 등 다양한 사업체 유형 중 매체사의 매출규모(1,291억원)가 가장 컸으나, 금년은 플랫폼 사업자의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113.5%)하며 매출규모면에서 매체사와 어깨를 나란히 할 것으로 예상된다.

[ ② 모바일광고 이용자 행태 조사 ]

모바일기기 이용자 2,46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용자 행태 조사(’12.11.19∼12.7)에서는, 다수의 이용자가 이미 모바일웹 DP(디스플레이), 검색광고, In-App(앱내)광고 등 다양한 유형의 모바일광고를 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광고 유형별로 접해본 비율은 모바일웹 DP광고(92.3%) ] 검색광고(91.5%) ] 텍스트광고(89.0%) ] In-App광고(78.6%) 순이고, 광고를 접한 뒤 클릭하여 내용을 살펴본 비율은 모바일웹 DP광고(74.4%) ] 검색광고(72.9%) ] In-App광고(70.5%) ] 텍스트광고(67.0%) 등의 순이었다. 한편, 브랜드앱광고를 접한 이용자(61.1%) 중 57.5%는 해당 앱을 다운로드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광고 유형별로 클릭한 이유를 살펴보면, ‘관심 있는 상품 정보이기 때문에’가 모바일웹 DP광고(47.6%), 텍스트광고(37.2%), 브랜드앱광고(35.5%), VOD광고(29.9%)에서 1순위였으며, 이용자가 검색을 통해 광고를 접하는 검색광고의 경우 ‘가장 상단에 위치’해서 라는 비율이 30.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모바일광고 유형별 어울리는 콘텐츠 조사에서는 브랜드앱광고의 경우 자동차(46.9%), In-App(앱내)광고는 게임/오락(34.7%), 검색광고는 패션/화장품(29.9%)이 1순위로 나타나, 주로 각 유형에서 자주 접해왔던 콘텐츠 중심으로 응답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선호하는 모바일광고 프로모션으로는 최근 모바일을 이용한 보상형광고가 확대되는 추세로 ‘포인트 및 마일리지 지급(40.7%)’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경품 지급, 할인쿠폰 지급의 선호도는 각각 22.4%, 19.4%로 조사되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번 조사 결과가 정부의 정책수립 뿐만 아니라 민간기업체의 경영전략 수립과 효율적인 광고기획 및 집행, 학계?연구소 등의 학술연구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으며, 금년에도 新유형 광고에 대한 이용자 테스트 패널을 운영하고 온라인광고 법?제도 가이드북 및 표준계약서?약관 마련, 민간 자율의 분쟁조정위원회 및 모바일광고 플랫폼 인증제도 운영 지원 등 인터넷?모바일광고 활성화를 위한 민?관 협력 활동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2012 모바일광고 산업통계 및 이용자 행태 조사’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한국인터넷진흥원 홈페이지(www.kisa.or.kr)를 통하여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끝]


붙임 1. [2012년 모바일광고 산업통계 및 이용자 행태 조사] 주요 결과

2. 모바일광고 유형

목록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 만족도평가
  • 지금 보고 계시는 화면의 정보와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항목관리자 정책홍보팀  02-2110-1339
13809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47, 2동

민원안내 : 02-500-9000(평일 09:00~18:00), 팩스 : 02-2110-0153

Copyright ©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ll Rights reserved.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접근성) 품질인증 마크, 웹와치(WebWatch) 2023.11.25 ~ 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