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g(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알림마당보도자료

알림소식
  • 알림마당
  • 보도자료
본문 시작

보도자료

방송통신위원회 보도자료를 게시하고 있습니다.방송통신위원회 활동과 정책에 관련된 언론 보도자료를 게시하고 있습니다.

“이동전화 단말기 자급제 시행”
제목 “이동전화 단말기 자급제 시행”
담당부서 통신이용제도과 작성자 이정순
공공누리 유형 연락처 02-750-2558
첨부파일 파일 아이콘 단말기자급제 시행자료(5.1).hwp  다운로드 뷰어보기
파일 아이콘 단말기자급제 시행자료(5.1).pdf  다운로드 뷰어보기
등록일 2012-05-02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계철)는 작년 11월 발표한 단말기 자급제 추진 계획(단말기 식별번호 제도개선 계획)에 따라 전산시스템 개발 등을 완료하고, ’12.5.1부터 이동통신사에 단말기 식별번호(IMEI*)를 등록하지 않은 단말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 단말기 자급제의 제도적·시스템적 기반이 마련되었다고 밝혔다.

□ 단말기 자급제란?

단말기 자급제는 이통사 중심의 단말기 유통구조를 개선하여 이용자가 이통사 뿐만 아니라 제조사, 마트,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도 단말기를 구입하여 희망하는 통신사를 선택하여 이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단말 선택권을 확대하고 합리적인 통신 소비를 유도할 수 있도록 시행하는 제도이다.

□ 단말기 자급제 이후 달라지는 점과 유의사항

▷▶ 통신사에 등록되지 않은 단말도 서비스 이용 가능

이통사에 단말기 식별번호(IMEI)를 등록하지 않은 단말기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통사의 전산시스템 개발을 완료하여, 5월부터는 일반유통망에서 구입한 단말기나 해외에서 단말기를 가져오는 경우 이통사 대리점에 찾아가 단말기 정보를 등록하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하다.

방통위는 개인이 본인 사용 목적으로 해외에서 휴대폰을 가져온 경우 방통위(국립전파연구원)에 반입신고서를 제출하지 않아도 사용 가능하도록 개선할 예정(7월 예정)이다.

*“방송통신기자재 등의 적합성평가에 관한 고시” 개정 추진 예정(∼7월)

▷▶ 단말기 식별번호 표기와 MMS(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호환

5월 이후 출시되는 단말기의 경우 이용자가 알 수 있도록 단말기 내부(SW적으로 표기) 또는 단말기 뒷면/박스에 단말기 식별번호(IMEI)를 표기하여 출시된다.

또한 5월 이후 신규 출시되는 모델의 스마트폰의 경우 OMA*-MMS 규격을 탑재하여 출시되므로 통신사를 변경하더라도 MMS 이용에 제한이 없다. 다만 5월 이전 출시 모델인 경우와 피처폰의 경우에는 MMS 이용이 제한될 수 있다.

※ OMA(Open Mobile Alliance) : 모바일 개방형 표준개발을 위한 표준화 기구

▷▶ 분실·도난 단말기 신고와 사용 차단

단말기 분실 또는 도난 시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이통사에 단말기 분실, 도난 신고를 하여야 한다. 이는 단말기 자급제 시행 전과 동일하다. 다만, 일반 유통망에서 구입한 단말기의 경우 타인이 사용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통사에 이동전화번호와 함께 단말기 식별번호를 함께 신고하여야 한다.

단말기 식별번호를 본인이 관리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이통사에 단말기 식별번호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정보통신진흥협회(KAIT)에서는 이통사에 신고된 분실·도난 단말기 정보를 공유하는 통합관리센터를 구축하여 사용을 차단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였다.

▷▶ 분실·도난폰 유통 방지

정보통신진흥협회(KAIT)는 중고폰 구매 시 해당폰이 분실·도난폰인지 이용자가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www.checkimei.kr, 또는 www.단말기자급제.한국)를 ’12.5.1부터 제공한다. 5월 이후 출시 단말기의 경우 단말기 식별번호(IMEI)로 조회 가능하며, 5월 이전 출시 단말기인 경우 모델명과 일련번호(Serial Number)로 조회가 가능하다.

또한 분실·도난폰 구매에 따른 이용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안전구매(에스크로*) 서비스를 적용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중고폰을 구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안전구매(에스크로) 서비스 적용 시 단말기 확인 후 대금 결제 처리가 되므로 분실?도난폰인지 확인(개통시, 식별번호 조회시)되면, 해당 쇼핑몰 사이트에 요청하면 구매 취소와 대금 환급 처리가 가능하다.

□ 단말기 자급제 홍보 포털 사이트 오픈

방통위는 이용자에게 단말기 자급제도 주요 내용, 자급 단말기 구입 시 주의사항, 분실·도난 시 대처방안 등을 안내하는 「단말기 자급제 홍보 포털」사이트(www.단말기자급제.한국)를 구축하여 5.1부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 자급제용 단말기 출시 준비 상황

국내외 제조사, 온·오프라인 유통업체 등의 사전 준비 기간 등을 고려할 때 5월에는 중고폰, 재고폰 등을 중심으로 초기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며, 자급제용 단말기(오픈마켓용 단말)는 6∼7월 중 일부 물량이 공급되고, 하반기에 출시 기종이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요금제 출시

단말기 유통 경로에 관계없이 요금할인 혜택을 부여하도록 이통사와 협의 중이며, 5월 중 할인요금제가 출시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협의를 추진할 계획이다.

□ 기대 효과 등

방통위 관계자는 단말기 자급제 시행으로 이통사의 대리점과 제조사 직영점, 유통업체, 온라인판매점 등 다양한 유통망이 등장하여 유통망간 경쟁을 촉진하고 중저가 단말기 등의 제조?유통이 활성화될 수 있어, 이용자의 단말기 선택권이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또한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은 MVNO, 선불요금제 등이 활성화될 수 있는 기반이 됨으로써 이용자의 합리적 통신 소비를 유도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앞으로도 방통위는 단말기 자급제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해 나갈 예정이며, 이용자의 인식 제고를 위해 홍보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붙임 : 단말기 자급제 홍보 포털 사이트. 끝.

목록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방송통신 해외진출 성공 노하우 전수2012-04-30
다음글 HTML5 기반 TV 플랫폼 표준 개발 추진2012-05-02
  • 만족도평가
  • 지금 보고 계시는 화면의 정보와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항목관리자 정책홍보팀  02-2110-1339
13809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47, 2동

민원안내 : 02-500-9000(평일 09:00~18:00), 팩스 : 02-2110-0153

Copyright ©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ll Rights reserved.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접근성) 품질인증 마크, 웹와치(WebWatch) 2023.11.25 ~ 2024.11.24